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공부를 못하는 두뇌(頭腦)는 없습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마인드원 조회 279회 작성일 2023-05-12

본문

잠시 가벼운 마음으로 문제를 하나 풀어보도록 하자.
공부를 잘 하는 아이는 공부가 즐거운 일일까? 아니면 공부가 힘들고 괴로운 일일까?

우리가 잘못 알고 있다시피 머리가 좋은 사람들만이 공부를 잘한다는 생각은 정말 잘못된 고정관념이다.
잘하는 공부에 대한 생각의 결과로 다음행동을 유추한다면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 공부를 계속하고 싶을까? 아니면 공부를 멀리하고 싶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공부를 잘했던 대다수 사람들의 경험은 공부를 잘하려 한 것이 아니고 진심으로 공부가 재미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공부를 잘하다보니 공부를 더 좋아하게 되었고, 좋아하다보니 더 잘하게되는 좋은 순환의 과정을 거쳐 학창시절에는 좋아하는 공부 밖에는 할 일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니 성적이 상위권인 것은 당연한 결과다.

그렇다면 재미있는 공부는 두뇌에게 있어 재미있는 경ㅇ험이고, 심리적으로는 재미있는 생각이라는 결론이 도출된다.

따라서 공부를 잘하는 최고의 방법은 학생들의 두뇌에 공부가 재미있고 흥미로운 경험이라는 방식으로 바꾸어 다시 입력시켜주면 될 일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과 항상 함께하며 매일 사용하고 있는 두뇌를 자신에게 알맞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왜냐하면 그 흔한 가전제품에도 첨부되어 나오는 제품 사용 매뉴얼, 즉 두뇌사용 설명서를 태어나면서 부모님께 받아 나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기와는 전혀 다른 남을 모방하면서 같아지려 눈치를 보면서 전전긍긍하며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심신의학의 모든 병은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데에 기본 원리를 두고 있다.

동양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존재한 개념이나, 1918년 독일의 하인로트(Heinroth)에 의하여 처음으로 제창되었고 미국에서는 1930년대에 학문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몸과 마음이 하나의 단위로 작용한다는 것이 심신의학의 요체이나, 최근에는 전인의학(全人醫學)이나 양자의학(量子醫學)으로 까지 발전되고 있다.

이 말을 다시 설명하자면 마음이 몸을 움직이기 때문에 병도 생기고 이를 치유하는 문제도 마음이 주관하고 있다는 것을 의학계가 이제서야 알게 되었고 서양의학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케케묵은 질문이지만 다시 한 번 곱십어 보도록 하자. 마음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 것일까?

예전에는 마음이 가슴에 있다고 느낌으로 알고 있었지만, 요즘에는 대체적으로 마음이 두뇌(頭腦)에 있다고 결론짓고 있는 것 같다. 근간 일본의 도쿄대학교에서는 맛없는 과자를 맛있어 보이게끔 기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인공헬멧을 개발했다고 한다.

원리는 간단해서 음식의 맛이 혀에 닿기 전에 눈과 코가이미 결정한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인데, 사람의 눈과 코를 컨트롤하는 두뇌에 기계적으로 가상현실을 만들어 보여주어 두뇌에서 맛을 관장하고 있는 부분을 속이고 있는 것이다. 알고보면 두뇌는 굉장히 정교해서 인간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을 것 같지만 잘 알고보면 이렇게 맹점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교한 두뇌의 이런 장점과 맹점을 잘 이해해서 공부에 활용한다면 성적은 향상될 수 있다.

기억은 두뇌의 전기적, 화학적인 변화이다. 기억은 수많은 신경세포 간의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모든 외부정보는 전기신호로 바뀌어서 두뇌에 전달된다. 두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이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달하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며 뉴런끼리는 시냅스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열심히 공부에 매진해도 재미있는 전기적, 화학적 신호로 두뇌를 자극하여 변화시키지 못한다면 학습효과가 적은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두뇌가 공부를 좋아하게끔 강력한 전기, 화학적 신호를 보낼 수 있을까?

인간의 두뇌가 신체에서 차지하는 분량은 약 5% 밖에는 안되는 용적이다. 그러나 전체 혈액순환의 20%를 사용하고 있으며, 두뇌에 그렇게 많은 양의 혈액순환이 필요하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렇다고 이런 두뇌의 왕성한 활동이 학생들이 열망하는 공부에만 사용하게 국한되어있지는 않다.

인체, 그리고 넓게 보면 사람의 인생자체도 관장하는 정교한 두뇌를 공부도 잘하는 두뇌로 재구성하는 방법은 이미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심리적으로는 이를 세심하게 컨트롤하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의 가르침이 필요하다.

"하면된다" 는 무조건적으로 노력만하는 구태의연한 방법보다는 마음공부를 통한 세심한 뇌파 조정, 그리고 자신의 신체리듬에 맞추어 학습시간을 재편성하고 뇌가 반응하게끔 욕구를 자극하며, 적절한 휴식과 영양공급의 반복 등 여러방법이 있지만 두뇌를 잘 알고 이해하려는 마음이 바로서야 비로서 성적도 바로 설 수 있는 것이다.

QUICK
MENU

TOP